강원 초등임용고시 2차는 심층면접 70점, 수업실연 10점, 영어 수업실연 10점, 영어 면접 10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층면접을 제외한 3가지는 크게 변별력이 있지 않고, 거의 심층면접 점수로 인해 당락이 결정됩니다. 그만큼 중요한 강원도 심층면접의 특징은 지식기반형 문제가 주로 출제가 된다는 점입니다. 단적으로 이번 심층면접 구상형1, 즉답형 3문항의 총 소문항은 19개였습니다. 15분 동안 교육의 공정한 출발선 보강, 학생 참여형, AI 디지털 기술,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해 19가지를 말해야 하니 많은 배경지식이 필요합니다. 초수의 경우 내가 우선 무엇을 공부해야 하나 감을 못잡는 경우가 많아 열심히 공부한다고 하였는데 시험의 출제되지 않는 지엽적인 부분만 파고 핀트를 잡지 못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시험에 무조건 출제되는 공간혁신, 생태전환, 신학년 준비 기간, 그린 스마트 미래 학교, 기초 학력, 안전, 회복적 생활교육 등 핫토픽을 중심으로 범위를 넓혀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는 오전에 심층면접 스터디를 한 후 오후나 저녁 시간에 윤승현 교수님의 줌 강의를 서브 스터디 개념으로 적극 활용했습니다. 초등 강원반 강의만 듣는 것이 아니라 초등 중등 심층면접 강의에도 참가해 배경지식을 최대한 넓힐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실제로 저는 2차 시험 2주 전 서울 중등 심층면접 반을 참관하며 AI 관련 내용을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행히 2주뒤에 AI 관련하여 하고 싶은 교육활동 5가지를 제시하라는 킬러문제가 출제되었으나 웃으면서 정말 쉽게 답변할 수 있었습니다. 윤승현 교수님 줌 시간에 배우는 것들은 검증된 것들이라 믿고 외워서 심층면접에서 자신감 있게 쓸 수 있었습니다. 제가 실제로 시험 전 학습한 공책과 윤승현 교수님과 대화한 내용을 제시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