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호 | 제목 | 강의시간 |
|---|---|---|
| 1 | [12-31] 1강 : 1~3월 OT 및 공부방법 | 10분 |
| 2 | [01-03] 2강 : 공부 마음 가짐 공부방법 | 111분 |
| 3 | [01-06] 3강 : OT 및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p.8) | 46분 |
| 4 | [01-06] 4강 :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p.8~20) | 60분 |
| 5 | [01-06] 5강 : 통합교육의 실제 (p.21~28) | 65분 |
| 6 | [01-06] 6강 : 통합교육의 실제 (p.29~54) | 68분 |
| 7 | [01-06] 7강 : 통합교육의 실제 (p.54~60) | 30분 |
| 8 | [01-07] 8강 : 통합교육의 실제 (p.61~77) | 79분 |
| 9 | [01-07] 9강 : 장애인 진단 및 평가 - 평가의 이해 (p.96~112) | 59분 |
| 10 | [01-07] 10강 : 측정의 기본 개념 (p.112~121) | 59분 |
| 11 | [01-07] 11강 : 측정의 기본 개념 (p.122~131) | 52분 |
| 12 | [01-07] 12강 : 사정방법 (p.132~138) | 21분 |
| 13 | [01-13] 13강 : 사정방법 (p.138~153) | 72분 |
| 14 | [01-13] 14강 : 가족지원 - 가족 지원의 이론적 배경 (p.156~178) | 45분 |
| 15 | [01-13] 15강 : 전환교육 - 전환교육의 개념 (p.180~199) | 76분 |
| 16 | [01-13] 16강 : 전환의 결과 (p.200~215) | 42분 |
| 17 | [01-14] 17강 : 특수교육공학 (p.218~234) | 55분 |
| 18 | [01-14] 18강 : 접근성에 대한 이해 (p.235~252) | 72분 |
| 19 | [01-14] 19강 : 보편적 학습설계 (p.252~275) | 53분 |
| 20 | [01-14] 20강 : 보조공학 (p.276~290) | 41분 |
| 21 | [01-20] 21강 : 긍정적 행동지원 (PBS) (p.292~306) | 71분 |
| 22 | [01-20] 22강 : 문제행동의 정의 및 우선순위화, 기능평가(기능진단)와 가설 세우기 (p.307~320) | 56분 |
| 23 | [01-20] 23강 : 행동의 직접 관찰과 측정 (p.321~348) | 108분 |
| 24 | [01-20] 24강 : 문제 행동의 예방,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p.349~372) | 106분 |
| 25 | [01-21] 25강 :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p.372~386) | 75분 |
| 26 | [01-21] 26강 : 새로운 행동의 습득 (p.387~395) | 51분 |
| 27 | [01-21] 27강 : 새로운 행동의 습득 (p.396~416) | 70분 |
| 28 | [01-21] 28강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 (p.417~436) | 89분 |
| 29 | [01-21] 29강 : 행동의 일반화 및 유지, 자기관리 기술과 인지적 행동주의 중재 (p.437~450) | 81분 |
| 30 | [01-22] 30강 : 01. 단일 대상연구설계1 | 58분 |
| 31 | [01-22] 31강 : 02. 단일 대상연구설계2 | 45분 |
| 32 | [01-22] 32강 : 02. 단일 대상연구설계3 | 24분 |
| 33 | [01-26] 33강 : 시각장애의 이해 (p.8~17) | 55분 |
| 34 | [01-26] 34강 : 시각장애의 원인과 교육적 요구 (p.18~40) | 71분 |
| 35 | [01-26] 35강 : 시각장애의 원인과 교육적 요구 (p.18~40), 시각장애아동의 진단 · 평가 (p.41~45) | 50분 |
| 36 | [01-26] 36강 : 시각능력 검사 (시각 평가) (p.46~53) | 32분 |
| 37 | [01-26] 37강 : 학습매체 평가 (p.54~58), 시각장애 아동의 교육 (p.59~80) | 59분 |
| 38 | [01-27] 38강 : 교육 자료의 준비와 활용 (p.81~89), 시각중복장애 교육 (p.90~98) | 60분 |
| 39 | [01-27] 39강 : 보행훈련 (p.99~115) | 72분 |
| 40 | [01-27] 40강 : 보행훈련 (p.116~126) | 47분 |
| 41 | [01-27] 41강 : 문해교육 (p.127~142),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p.143~162) | 91분 |
| 42 | [01-27] 42강 : 청각장애의 정의, 원인 및 분류 (p.164~177), 소리의 특성 (p.178~181) | 54분 |
| 43 | [01-28] 43강 : 객관적 청력검사 및 유아청각검사, 주관적 청력검사 (p.182~198) | 71분 |
| 44 | [01-28] 44강 : 주관적 청력검사 (p.198~216) | 84분 |
| 45 | [01-28] 45강 : 보청기 및 인공와우, 청각장애아동의 특성 (p.217~234) | 60분 |
| 46 | [01-28] 46강 : 구화지도 (p.235~251) | 43분 |
| 47 | [01-28] 47강 : 수어지도, 청각장애학생과 통합교육 (p.252~268) | 55분 |
| 48 | [02-10] 48강 :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언어기관의 생리학적 이해 (p.270~280) | 54분 |
| 49 | [02-10] 49강 : 언어의 구조 (p.281~294) | 52분 |
| 50 | [02-10] 50강 : 언어발달과 언어발달검사 (p.295~309) | 56분 |
| 51 | [02-10] 51강 : 단순언어장애 (p.339~351) | 38분 |
| 52 | [02-10] 52강 : 신경 말 언어장애, 조음 · 음운장애(말소리장애) - 말소리의 평가 (p.352~369) | 75분 |
| 53 | [02-11] 53강 : 조음·음운장애 (말소리 장애) - 조음 및 음운오류 형태 ~ 유창성장애 - 정상적인 비유창성 (p.370~387) | 71분 |
| 54 | [02-11] 54강 : 유창성장애 - 치료방법 ~ 삼킴장애 (p.388~406) | 44분 |
| 55 | [02-11] 55강 : 의사소통장애 아동 교육 (언어치료 프로그램) (p.407~425) | 72분 |
| 56 | [02-11] 56강 :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p.426~449) | 85분 |
| 57 | [02-11] 57강 : 기출문제풀이 | 31분 |
| 58 | 특수 6주차 강의(2/17~2/18) 휴강되었습니다. | 1분 |
| 59 | [02-24] 58강 : 지적장애 정의체계에 대한 이해 (p.452~465) | 63분 |
| 60 | [02-24] 59강 : 진단평가 및 분류, 지적장애의 원인 및 예방 (p.466~486) | 74분 |
| 61 | [02-24] 60강 : 지적장애인의 특성 (p.487~498) | 43분 |
| 62 | [02-24] 61강 : 학령기 교육적 접근 (p.499~513) | 58분 |
| 63 | [02-24] 62강 : 성인기 교육적 접근 (p.514~526) | 41분 |
| 64 | [02-25] 63강 : 사회적 능력의 지도 (p.527~539) | 44분 |
| 65 | [02-25] 64강 : 정서행동장애의 기초 (p.8~20) | 45분 |
| 66 | [02-25] 65강 :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적 모델 (p.21~43) | 62분 |
| 67 | [02-25] 66강 :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적 모델, 불안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우울장애, 양극성 및 관련장애, 신경발달장애, 파괴적, 충동통제 및 품행 장애 (p.44~86) | 80분 |
| 68 | [02-25] 67강 : [보충수업] DSM-5 진단기준 살펴보기 | 41분 |
| 69 | [03-01] 68강 : 자폐성장애의 정의 및 분류 (p.88~92) | 36분 |
| 70 | [03-01] 69강 : 자폐성장애의 특성 (p.93~110) | 62분 |
| 71 | [03-01] 70강 : 자폐성장애 중재 (p.111~130) | 69분 |
| 72 | [03-01] 71강 : 자폐성장애 중재 (p.130~145) | 50분 |
| 73 | [03-01] 72강 : 자폐성장애 중재 (p.146~158) | 43분 |
| 74 | [03-03] 73강 : 학습장애 정의, 학습장애의 진단과 평가 (p.160~174) | 64분 |
| 75 | [03-03] 74강 : 학습장애의 진단과 평가 (p.175~181) | 40분 |
| 76 | [03-03] 75강 : 읽기이해 및 지도 (p.182~194) | 52분 |
| 77 | [03-03] 76강 : 읽기이해 및 지도 (p.190~206) | 43분 |
| 78 | [03-03] 77강 : 읽기이해 및 지도 (p.207~217) | 46분 |
| 79 | [03-03] 78강 : 쓰기 이해 및 지도 - 쓰기 교수 영역 및 지도 (글씨쓰기) (p.218~224) | 18분 |
| 80 | [03-04] 79강 : 쓰기 이해 및 지도 - 철자 (p.225~236) | 42분 |
| 81 | [03-04] 80강 : 수학 이해 및 지도 - 철자 (p.237~256) | 48분 |
| 82 | [03-04] 81강 : 수학 이해 및 지도, 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 (p.256~267) | 46분 |
| 83 | [03-04] 82강 : 학습전략 (p.268~280) | 35분 |
| 84 | [03-04] 83강 : 학습전략 (p.280~290) | 49분 |
| 85 | [03-10] 84강 : 지체장애 및 건강, 중도중복장애의 이해 (p.292~319) | 62분 |
| 86 | [03-10] 85강 : 진단 평가, 지체장애의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중재 (p.320~332) | 73분 |
| 87 | [03-10] 86강 : 지체장애의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중재 (p.333~365) | 80분 |
| 88 | [03-10] 87강 : 건강장애의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중재 / 중도 · 중복장애의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중재 - 의사소통 특성 및 중재 (p.365~397) | 93분 |
| 89 | [03-11] 88강 : 중도 · 중복장애의 유형 및 특성, 그리고 중재, 자세와 앉기 (p.397~412) | 70분 |
| 90 | [03-11] 89강 : 자세와 앉기, 보행 및 이동 (p.413~430) | 62분 |
| 91 | [03-11] 90강 : 보행 및 이동, 일상생활 기술 (p.431~453) | 58분 |
| 92 | [03-11] 91강 : 일상생활 기술 (p.454~467) | 40분 |
| 93 | [03-11] 92강 : 치료지원 서비스, 컴퓨터의 활용과 대체접근 (p.468~484) | 63분 |
| 94 | [03-11] 93강 : 1. [부록] 진단, 평가(도구) (p.492~p.553) [종강] | 49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