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강의시간 |
1 |
1~3월 분석화학 스탠다드 이론반 설명회 |
50분 |
2 |
[01-07] 1강 : 1장 산-염기 평형과 적정 - 1. 산과 염기의 정의 (p.1) |
30분 |
3 |
[01-07] 2강 : Bronsted - Lowry 산-염기 정의 (B-L 산-염기 정의) |
45분 |
4 |
[01-08] 3강 : 2. B-L 산-염기의 세기(절대적, 상대적) (p.5~) |
41분 |
5 |
[01-08] 4강 : ㉡ 염기의 세기 |
47분 |
6 |
[01-08] 5강 : ④ 이온화도(α) 와 산-염기의 세기 (p.6) |
45분 |
7 |
[01-08] 6강 : ㉣ 약염기 : 0<α<0.05, B(중성 화학종) |
47분 |
8 |
[01-08] 7강 : ⑦ 산과 염기의 [H20+]=[H+] 와 [OH-]의 계산적인 취급 |
45분 |
9 |
[01-08] 8강 : ㉡ 약산과 약염기의 계산적인 취급 |
47분 |
10 |
[01-14] 9강 : ㉢ 지난 시간 정리 |
38분 |
11 |
[01-14] 10강 : ㉣ 약산과 약염기 정리 |
54분 |
12 |
[01-14] 11강 : ㉢ 3성분산 (XOH) |
65분 |
13 |
[01-15] 12강 : ⑨ 산 만드는 염의 구성 성분 (p.16) |
53분 |
14 |
[01-15] 13강 : 2) 약산과 강염기 |
39분 |
15 |
[01-15] 14강 : 3. pH 완충 용액 (p.18) |
52분 |
16 |
[01-15] 15강 : (2) pH 완충 용액의 관계식과 성질 (p.19) |
79분 |
17 |
[01-15] 16강 : ㄴ) 분율 조성식 유도 |
39분 |
18 |
[01-15] 17강 : ② H-H 식 이용 |
44분 |
19 |
[01-15] 18강 : ④ pH=7.0 완충 용액 vs 비완충 용액(H2O, pH=7.0) |
26분 |
20 |
[01-21] 19강 : ⑥ <기출 분석 17> |
33분 |
21 |
[01-21] 20강 : ⑦ <기출 분석 1> (p.9) |
42분 |
22 |
[01-21] 21강 : ⑩ 다양성자산의 평형과 pH 완충 용액 |
80분 |
23 |
[01-22] 22강 : ㉢ 이양성자산의 pH 완충 용액 |
50분 |
24 |
[01-22] 23강 : ⑫ 삼양성자산의 pH 완충 용액 |
38분 |
25 |
[01-22] 24강 : 4. 산과 염기의 적정 (p.30~) |
51분 |
26 |
[01-22] 25강 : ② 산-염기 지시약의 종류 |
52분 |
27 |
[01-22] 26강 : 4. 산과 염기의 적정 (p.30~) - <기출> |
100분 |
28 |
[02-04] 27강 : ④ 산의 정량적인 취급 (p.34~36) |
71분 |
29 |
[02-04] 28강 : ⑥ <기출 분석>의 예 |
41분 |
30 |
[02-04] 29강 : ⑦ HCl(ag)과 H2S04(ag)의 적정 곡선의 이해 |
56분 |
31 |
[02-05] 30강 : ㉢ 0.10M HCl(ag) + 0.10M NaHSO4(ag) [혼합 산 : 분석 물질] |
61분 |
32 |
[02-05] 31강 : 6) 계산 |
72분 |
33 |
[02-05] 32강 : ⑨ 다양성자성 산과 염기의 Ve1과 Ve2 확인 |
59분 |
34 |
[02-05] 33강 : ⑩ 혼합산(강산+약산) 또는 혼합 염기(강염기+약염기) 의 산-염기 적정 |
38분 |
35 |
[02-05] 34강 : <혼합산 또는 혼합 염기 판별> |
84분 |
36 |
[02-11] 35강 : ⑫ Na2CO3 분석과 Na2CO3 혼합물 |
80분 |
37 |
[02-11] 36강 : ㉡ Na2CO3 혼합물 |
43분 |
38 |
[02-11] 37강 : ㉢ <기출 분석>의 예 |
36분 |
39 |
[02-14] 38강 : ⑬ 질소 분석법 (키엘달법:Kjeldahl법) |
52분 |
40 |
[02-14] 39강 : ⑭ 산-염기의 표준화 (p.48) |
44분 |
41 |
[02-14] 40강 : 화학 평형, 침전 평형과 적정, 침전 무게 분석법, 착물 평형 및 EDTA 적정 |
71분 |
42 |
[02-18] 41강 : ④ 공통 이온 및 공통 이온 효과 |
78분 |
43 |
[02-18] 42강 : (4) PH 변화에 따른 이온성 화합물(또는 염)의 용해도 변화 |
59분 |
44 |
[02-19] 43강 : ⑧ <기출>의 예 |
73분 |
45 |
[02-19] 44강 : ⑦ 혼합 염의 용해도 |
76분 |
46 |
[02-19] 45강 : ㉣ <기출 분석>의 예 (p.2) |
80분 |
47 |
[02-19] 46강 : ⑩ MmXn(s) ≒ mMn+ + nXm- |
51분 |
48 |
[02-25] 47강 : (5) 착물 형성에 따른 이온성 화합물(또는 염)의 용해도 변화(증가) |
67분 |
49 |
[02-25] 48강 : ㉥ 대표적인 예 |
51분 |
50 |
[02-25] 49강 : ② 음이론 = 리간드 |
65분 |
51 |
[02-26] 50강 : ⓒ X- 이온의 첨가 효과 |
80분 |
52 |
[02-26] 51강 : ㉡ Zn(OH)2(S)의 포화 수용액 |
69분 |
53 |
[02-26] 52강 : (6) 양이온 정성 분석과 선택적 침전 (=분별 침전) |
82분 |
54 |
[02-27] 53강 : ㉥ 양이온 정성 분석의 예 |
74분 |
55 |
[02-27] 54강 : ⓑ 미지 시료 : 0.1M A+ + 0.1M C2+ |
38분 |
56 |
[02-27] 55강 : ⓒ 미지 시료 : 0.1M Fe3+ + 0.1M Mg2+ |
76분 |
57 |
[03-04] 56강 : ㉥ 황화물 분리의 계산 |
80분 |
58 |
[03-04] 57강 : (7) 이온 세기 (ionic strength) |
32분 |
59 |
[03-05] 58강 : ④ 이온 세기의 개념 |
53분 |
60 |
[03-05] 59강 : ⓐ 대표적인 예 |
55분 |
61 |
[03-05] 60강 : ⑦ 염(비활성 염) 들어있는 수용액의 정확한 pH 계산 |
43분 |
62 |
[03-05] 61강 : (8) 침전 적정법 ① 적정법의 종류 |
38분 |
63 |
[03-05] 62강 : (8) 침전 적정법 ② 은법 적정 |
44분 |
64 |
[03-05] 63강 : (8) 침전 적정법 ⓓ 장점(Mohr 단점 개선) |
45분 |
65 |
[03-12] 64강 : 착물 평형 및 EDTA 적정 (p.119) |
39분 |
66 |
[03-12] 65강 : (2) EDTA 성질 |
33분 |
67 |
[03-12] 66강 : (3) EDTA 적정 |
35분 |
68 |
[03-12] 67강 : ⓒ 희석 효과 |
63분 |
69 |
[03-12] 68강 : ⑤ 보조 착화제를 이용한 EDTA 직접 적정 |
91분 |
70 |
[03-19] 69강 : 질산은(AgNO3)에 의한 직접 적정의 적정 곡선 이해 (p.88~) |
48분 |
71 |
[03-19] 70강 : C. 침전 적정 곡선(S자형 적정 곡선)에서 Ksp 효과와 묽힘 효과 (p.90~91) |
44분 |
72 |
[03-19] 71강 : 산화-환원 적정과 전기 화학 기본 원리 (2전극계 갈바니 전지 : 전위차법) |
61분 |
73 |
[03-19] 72강 : ⑥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적정의 예 |
50분 |
74 |
[03-19] 73강 : ㉢ 선 표시법 |
55분 |
75 |
[03-22] 74강 : 표준 환원 전위 |
53분 |
76 |
[03-22] 75강 : ㉡ Nernst식 종류(1922년 노벨 화학상) |
43분 |
77 |
[03-22] 76강 : ④ 전위차법에 의한 K계산 또는 측정 |
46분 |
78 |
[03-22] 77강 : b. 관심있는 평형 반응이 하나의 반쪽 전지에 포함된 경우 |
46분 |
79 |
[04-04] 78강 : ⑥ <기출 분석>의 예 |
77분 |
80 |
[04-04] 79강 : ㉣ Ve에서는 둘 다 측정이 어려움 |
44분 |
81 |
[04-04] 80강 : h. 산화-환원 지시약(미량) |
39분 |
82 |
[04-04] 81강 : b. 0.05M KI + 0.01M KCI 40mh (As) |
50분 |
83 |
[04-04] 82강 : 산화 상태의 조절과 표준 적정제 |
57분 |
84 |
[04-04] 83강 : ㉣ 표준 산화제와 그 응용 |
51분 |
85 |
[04-04] 84강 : b) K2Cr2O7에 의한 적정 : 역적정법 (Fe2+) |
41분 |
86 |
[04-12] 85강 : ⓒ 요오드 적정법 |
62분 |
87 |
[04-12] 86강 : 5) 간접 요오드 적정법 (대표적인 예) |
49분 |
88 |
[04-15] 87강 : 정량 분석의 일반적인 관계 |
76분 |
89 |
[04-15] 88강 : ② Beer-Lambert의 법칙 |
44분 |
90 |
[04-15] 89강 : ㉣ 등흡광점의 이용 |
58분 |
91 |
[04-15] 90강 : (7) 분광 광도법에 의한 적정 곡선 |
50분 |
92 |
[04-16] 91강 : 분리 분석의 기초 (p.276~) |
52분 |
93 |
[04-16] 92강 : <기출 분석>의 예 (1번 문항, p.12, 4/16) |
63분 |
94 |
[04-16] 93강 : ⑤ 금속 킬레이트제에 의한 추출 : 금속 착화합물(무게법) |
48분 |
95 |
[04-16] 94강 : ⑧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
56분 |
96 |
[04-16] 95강 : ㉡ 크로마토그램의 모양(가우스 함수) 및 세로 확산(원인) |
87분 |
97 |
[04-23] 96강 : 단높이 식 (H, van Deemter 식) |
71분 |
98 |
[04-23] 97강 : 기출 분석 5 |
41분 |
99 |
[04-23] 98강 : ⓒ 원인 |
53분 |
100 |
[04-23] 99강 : a. 시료 주입부 |
65분 |
101 |
[04-23] 100강 : c. 이동상(운반 기체) |
34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