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강의시간 |
1 |
[01-04] 1강 : 교육과정 1~5 목차, 2022 개정 중학교 |
41분 |
2 |
[01-04] 2강 : 교육과정 5~9 2022 개정 중학교 내용체계 |
42분 |
3 |
[01-04] 3강 : 교육과정 10~12 교수학습 방향, 방법, 평가방법 |
45분 |
4 |
[01-04] 4강 : 교육과정 13~38 평가방향, 선택과목 (진로선택, 융합선택) |
36분 |
5 |
[01-04] 5강 : 교육과정 교재 74~78 창의적 발상법 (시네틱스,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마인드맵) |
38분 |
6 |
[01-04] 6강 : 교육과정 교재 79~91 (체크리스트, SCAMPER, PMI, 여섯가지 사고모, 형태 종합법, 속성열거법, 컨셉맵) |
31분 |
7 |
[01-10] 7강 : 교육과정 평가 92~96 (평가의 유형, 평가의 종류) |
40분 |
8 |
[01-10] 8강 : 교육과정 평가 97~110 (평가 방법, 수행평가, 평가 척도, 수행평가 종류) |
43분 |
9 |
[01-10] 9강 : 교육과정 평가 111~128 (수행평가 종류, 교육론 기출) |
42분 |
10 |
[01-10] 10강 : 교육론 154~160 (미술교육개념, 미술교육역사) |
36분 |
11 |
[01-10] 11강 : 교육론 161~172 (미술교육역사) |
47분 |
12 |
[01-10] 12강 : 교육론 173~186 (창의성 유형) |
31분 |
13 |
[01-11] 13강 : 교육론 186~190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
40분 |
14 |
[01-11] 14강 : 교육론 190~199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학문중심 교육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 |
46분 |
15 |
[01-11] 15강 : 교육론 199~209 (이해중심 교육과정, DBAE) |
39분 |
16 |
[01-11] 16강 : 교육론 210~216 (DBAE, Neo-DBAE) |
35분 |
17 |
[01-11] 17강 : 교육론 217~228 (다문화 미술교육) |
39분 |
18 |
[01-11] 18강 : 교육론 229~238 (다중지능이론, 시각문화 미술교육) |
39분 |
19 |
[01-17] 19강 : 교육론 239~242 (시각문화 미술교육 (심리학적 기반, 프리드먼)) |
40분 |
20 |
[01-17] 20강 : 교육론 243~250 (시각문화 미술교육 (브렌트 윌슨, 하우스먼),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에플렌드, 격자모형)) |
47분 |
21 |
[01-17] 21강 : 교육론 251~275 (다양한 관점 미술교육, 발달 단계) |
42분 |
22 |
[01-17] 22강 : 표현기법 472~485 (회화표현 기법, 투시법, 현대 회화 공간, 르네상스와 바로크 공간) |
46분 |
23 |
[01-17] 23강 : 표현기법 485~500 (안료, 프레스코, 템페라, 유화, 수체화) |
45분 |
24 |
[01-18] 24강 : 표현기법 501~515 (소묘, 정물화, 풍경화, 역사) |
45분 |
25 |
[01-18] 25강 : 표현기법 516 ~ 529 (인물화 (자화상, 초상화, 역사화), 인물화 역사, 전통회화) |
34분 |
26 |
[01-18] 26강 : 표현기법 530~542 ((전통회화) 인물화 종류, 산수화 종류, 영모화, 민화, 전통화 기법) |
37분 |
27 |
[01-18] 27강 : 표현기법 543~555 ((전통회화) 전통회화 기법) |
35분 |
28 |
[01-18] 28강 : 표현기법 556~580 ((전통회화) 전통회화 기법(준법, 점법, 수리법, 묘법, 구조), (추상화) (다양한 기법)) |
63분 |
29 |
[01-24] 29강 : 서양 미술사 8~25 (고대~이집트) |
40분 |
30 |
[01-24] 30강 : 서양 미술사 26~41 (그리스~(건축, 도자기)) |
46분 |
31 |
[01-24] 31강 : 서양 미술사 42~59 (그리스(조각, 빙켈만 분류)~로마) |
42분 |
32 |
[01-24] 32강 : 서양 미술사 60~70 (중세(동로마, 서로마, 초기기독교, 비잔틴) |
40분 |
33 |
[01-24] 33강 : 서양 미술사 71~93 (중세(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초기) |
50분 |
34 |
[01-24] 34강 : 서양 미술사 94~117 (르네상스 전성기, 북유럽, 베네치아, 매너리즘) |
39분 |
35 |
[01-25] 35강 : 서양미술사 118~123 (디세뇨, 바로크, (이탈리아)) |
37분 |
36 |
[01-25] 36강 : 서양미술사 124~141 (바로크(플랑도르, 네덜란드, 프랑스)) |
41분 |
37 |
[01-25] 37강 : 서양미술사 142~161 (바로크(뵐플린 구분), 로코코, 계몽주의 미술) |
37분 |
38 |
[01-25] 38강 : 서양미술사 162~170 (신고전주의) |
31분 |
39 |
[01-25] 39강 : 서양미술사 171~190 (낭만주의, 미국의 낭만주의) |
40분 |
40 |
[01-25] 40강 : 서양미술사 191~202 (자연주의, 사실주의) |
31분 |
41 |
[02-07] 41강 : 서양미술사 203~205 (인상주의) |
56분 |
42 |
[02-07] 42강 : 서양미술사 205~224 (인상주의~후기인상주의) |
45분 |
43 |
[02-07] 43강 : 서양미술사 224~243 (후기인상주의, 상징주의, 종합주의, 야수주의) |
36분 |
44 |
[02-07] 44강 : 서양미술사 244~254 (표현주의, 다리파, 청기사파) |
48분 |
45 |
[02-07] 45강 : 서양미술사 255~269 (입체주의(세잔적 큐비즘, 분석적 큐비즘, 종합적 큐비즘)) |
36분 |
46 |
[02-07] 46강 : 서양미술사 270~280 (미래주의, 오르피즘, 러시아 아방가르드) |
27분 |
47 |
[02-08] 47강 : 서양 미술사 280~290 (절대주의, 구성주의) |
49분 |
48 |
[02-08] 48강 : 서양 미술사 290~300 (구성주의 ~ 정밀주의) |
39분 |
49 |
[02-08] 49강 : 서양 미술사 301~319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
39분 |
50 |
[02-08] 50강 : 서양 미술사 320~328 (형이상학적 회화 ~ 20c 사진), 판화 610~624 (판화용어, 볼록판화, 목판화) |
41분 |
51 |
[02-08] 51강 : 판화 625~633 (다색목판화, 오목판화) |
44분 |
52 |
[02-14] 52강 : 조소 647 ~653 (조소 요소, 소조, 조각개념, 테라코타) |
35분 |
53 |
[02-14] 53강 : 조소 654 ~661 (브론즈, 현대조소), 서예 696~698 (임서, 용필법, 운필법, 역입 평출, 장봉, 노봉) |
40분 |
54 |
[02-14] 54강 : 서예 699 ~ 705 (영자팔법, 한글서체, 한문서체) |
37분 |
55 |
[02-14] 55강 : 서예 706 ~ (한문서체서법), 중국 미술사 구조도자료 1~2 |
41분 |
56 |
[02-14] 56강 : 중국 미술사 구조도자료 2~3, 교재 396~418 |
47분 |
57 |
[02-15] 57강 : 중국 미술사 419 ~ 429 (위, 진나라, 남북조) |
34분 |
58 |
[02-15] 58강 : 중국 미술사 430 ~ 448 (수나라, 당나라, 오대) |
42분 |
59 |
[02-15] 59강 : 중국 미술사 448 ~472 (송나라(북송, 남송), 원나라) |
46분 |
60 |
[02-15] 60강 : 한국 미술사 구조도 프린트 1~3, 교재 8~22 (고구려 고분벽화) |
38분 |
61 |
[02-15] 61강 : 한국 미술사 23~49 (백제 고분벽화, 신라 회화, 통일신라, 고려 회화) |
38분 |
62 |
[02-21] 62강 : 한국 미술사 50~64 (불화 종류) |
49분 |
63 |
[02-21] 63강 : 한국 미술사 64~71 (불화 종류, 불화 양식 분류, 조선 불화, 조선초기) |
51분 |
64 |
[02-21] 64강 : 한국 미술사 72~89 (조선 구조도 프린트, 조선초기) |
42분 |
65 |
[02-21] 65강 : 한국 미술사 90~111 (조선초기, (안견, 마하파, 절파, 영모화)) |
44분 |
66 |
[02-21] 66강 : 한국 미술사 112~132 (조선초기(신사임당, 기록화) 조선중기(절파)) |
35분 |
67 |
[02-22] 67강 : 한국 미술사 133~142 (조선중기, (묵죽, 고사인물도, 미법산수)) |
44분 |
68 |
[02-22] 68강 : 한국 미술사 142~160 (조선중기, (초상화, 고사인물) 조선후기(시대배경, 상황)) |
47분 |
69 |
[02-22] 69강 : 한국 미술사 160~181 (조선후기(작가)) |
42분 |
70 |
[02-22] 70강 : 한국 미술사 181~221 (조선후기(작가), 조선말기(특징, 작가)) |
47분 |
71 |
[02-22] 71강 : 한국 미술사 221~ (조선말기(작가)) |
24분 |
72 |
[02-28] 72강 : 디자인 516~530 (색의3속성, 3원색, 색채 지각) |
42분 |
73 |
[02-28] 73강 : 디자인 531~547 (속성의 지각효과, 색채이론) |
41분 |
74 |
[02-28] 74강 : 디자인 547~567 (색채이론, 색채계, 지각이론, 시각디자인) |
36분 |
75 |
[02-28] 75강 : 디자인 567~591 (시각디자인, 4차원 영상디자인) |
36분 |
76 |
[02-28] 76강 : 디자인 591~599 (4차원 영상디자인, 산업디자인) |
28분 |
77 |
[03-01] 77강 : 공예 668~681 (전통공예 (금속, 칠보, 도자기)) |
55분 |
78 |
[03-01] 78강 : 공예 682~699 (전통공예 고려청자) |
43분 |
79 |
[03-01] 79강 : 공예 699~723 (고려청자, 분청사기, 백자, 나전칠기, 섬유염색) |
48분 |
80 |
[03-01] 80강 : 공예 723~729 (염색(종류, 재료. 방법), 유리공예) / 의자디자인 654~666 [종강] |
43분 |